-
월 200만원도 못 버는 가구가 전체가구의 1/5 (20%)라고 합니다.사회 2023. 2. 27. 10:12728x90반응형
평균소득 격차심화 국가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, 작년 4분기에는 가구의 19.77%가 평균 월소득이 200만 원 미만이었다고 합니다. 대한민국의 최저시급은 월 1,914,440원이며, 이는 가구의 8.50%가 벌어들이고 있습니다. 1백만 원 이상 2백만 원 미만의 소득을 가진 가구는 11.27%였습니다. 같은 기간, 소득 하위 20%의 가구의 평균 월소득은 6.6% 증가했으며, 상위 20%의 가구는 2.9% 증가했습니다. 결과적으로 1 분위와 5 분위 간의 균등화 처분가능소득(소득격차지수)은 5.53배로 작년 대비 0.18배 포인트 감소했습니다.
가구주 연령은 소득 수준과 연관되어 있습니다. 월 1백만원 미만의 소득을 가진 가구는 평균 연령이 61.20세이며, 월 1백만 원에서 2백만 원의 소득을 가진 가구는 평균 연령이 59.16세입니다. 게다가, 가구 구성원 수는 소득 수준에 반비례합니다. 1백만 원 미만의 소득을 받는 가구는 1.31명이며, 3백만 원에서 4백만 원의 소득을 받는 가구는 2.08명입니다. 소득이 낮을수록 가구 구성원 수는 적습니다.
2백만원 미만의 소득을 받는 가구의 비율은 2019년 24.70%에서 작년 4분기에는 21.52%로 감소했습니다. 작년 4분기에 1백만 원 미만의 소득을 받는 가구는 유동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많아 월적자가 609,090원이었습니다. 1백만 원 미만의 소득을 받는 가구의 소비지출은 작년 대비 3.7% 증가하였으며, 1백만 원 이상 2백만 원 미만의 소득을 받는 가구의 소비지출은 9.2% 증가하였습니다. 그러나, 소득이 없지만 자산이 많고 저축으로 생활하는 고령층 가구는 실제 경제적 어려움과 다를 수 있는 저소득 가구로 집계된다는 점을 참고해서 봐야 합니다.
반응형728x90반응형'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팡 바로가기 (0) 2023.03.04 유아인 사건을 통해서 본 프로포폴 중독의 위험성 (0) 2023.02.27 발렌타인데이의 기원과 역사 그리고 선물 추천 (0) 2023.02.13 인공지능 ChatGPT 에 전달되는 명령어의 범주 (0) 2023.02.04 인공지능(AI) 시대에 필요한 능력과 자기 계발 (0) 2023.02.02